1등 기획자가 되기 위한 조건
기획 단계
기획의 정의는 어떠한 일을 하기 위해 창의적이고 논리적으로 계획을 짜는 것을 말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행동이 수반되어야 한다.
- 절대적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해서 좋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실행해야 한다.
- 좋은 기획서는 상대방에게 채택되고 실행되어야 한다.
- 좋은 기획서를 쓰기 위해서는 호기심을 잊지 마라.
- 겸손하게 배우는 자세를 잊지 마라.
정보 관리
- 자료를 주제별로 나누어 정리하고, 한번 쓰고 나면 바로 버린다.
- 스크랩 정보는 나만의 아이디어를 첨부하여 변환시켜서 보관한다.
- 정보를 주기적으로 정리한다.
인터넷보다 더 깊숙한 정보 소스가 필요하다.
- 전문가를 만나기
- 상공회의소 온라인 세미나
- 필드 리서치
- 논문으로 전문 자료를 찾기
- 독서하는 습관을 가지기
데이터로 승부하기
수치, 통계를 활용하기
성공사례 벤치마킹
잘 쓰기 위한 조건
소통에 집중하기
기획서의 목적은 관련 부서와 상사의 원활한 협조를 끌어내기 위한 것
회사에 들어가면 꼭 써야 할 5가지 기획서
- 마케팅 기획서
- 신제품 론칭 기획서
- 사업 기획서
- 프로모션 기획서
- 이벤트 기획서
기획서란 바로 이런 것이다.
- 기승전결이 있다.
- 간결하고 명확하다.
- 객관적이다.
- 긍정적이다.
- 무슨 내용인지 이해하기 쉽다.
초안부터 다르다
- 컴퓨터 작업 전 종이와 펜으로 아이디어를 구체화한다.
- 기획서의 목표가 무엇인지 분명하게 파악하라.
- 구체적인 데이터로 주장을 뒷받침하라.
DO
- 기획 목표가 명확
- 목표를 숫자로 설정
- 분석이 과학적
- 숫자, 데이터, 도표, 그림 등을 효과적으로 활용
- 간결한 문제와 구체적 표현
- 비용과 수익이 정확하게 산출
- 균형 잡힌 구성
DON’T
- 기획 목표가 애매
- 목표를 추상적으로 제시
- 문장이 서술적이며 불분명
- 자료, 데이터, 도표 부족
- 한편으로 치우진 문서 구성
- 영어, 한자의 남용
- 초안 단계부터 비용과 수익을 고려하라
기획서 프로세스
- 현장조사 및 자료수집
- 초안 작성
- 초안 협의
- 기획 방향 결정
- 목차 구성
- 기획안 수립
- 내용 체크
- 기획안 제출
기획서를 잘 쓰려면 현장조사를 하라
현장조사의 세 가지 목적
- 기획 대상이 관심사와 동향을 파악한다.
- 트렌드를 피부로 체감하라.
- 차별화된 디자인을 발굴하라.
사전조사
- 현장조사는 인터넷을 이용해 미리 하라.
- 사전조사를 바탕으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라.
- 기록장치를 준비해라.
현장조사 결과를 반드시 자료화하라
기획서 수정-보완을 통해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라.
Plan – Do – Check – Action
Plan
- 현황 분석
- 솔직하게 구체적인 수치로 파악
- 목표와의 차이 파악
- 목표: 숫자로 분명하게 설정
- 차이 극복 전략 설정
- 전략: 현황(현재 수준)과 목표의 차이 극복을 위한 방향 제시
- 세부 실행계획 수립
- 실행계획: 전략 추진을 위한 세부 실천지침 마련
Do
- 우선순위 결정
- 무엇을 먼저 할 것인가?
- 자원(예산, 인력, 시간) 결정
- 자원의 효율적 배분
- 자원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
- 추진 일정 결정
- 추진 일정 수립
- 언제 할 것인가?
- 업무 분장 결정
- 업무 분장 및 교육
- 누가 무엇을 할 것인가?
Check
- 조사를 할 때에는 여러 가지 측정기준(정성, 정량)을 활용해야 하며, 목표한 값과 차이가 어느 정도 나는지 살표 보아야 한다.
Action
- Check단계에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조치를 취함으로써 다음 기획서의 작성 수준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이다.
- 1단계에서 예상치 못했던 돌발상황에 대해서는 대책을 수립하여 향후 동일한 일이 발생했을 때 대처해야 한다.
결재자만 죽도록 공략하라.
- 결재자의 기호를 파악하라.
- 회사의 방향에 맞추어야 한다.
- 결재자의 수준을 뛰어넘어야 한다.
삼성의 기획서 작성 9가지 원칙
1페이지 기획서가 최고!
- 결재자는 기획서를 볼 시간이 없다.
- 1페이지로 작성할 수 없다면 1페이지짜리 요약서를 첨부하라.
5 W 2 H
- When
- Where
- Who
- What
- Why
- How
- How much
3가지
- 어떻게 할 것인지
- 비용은 어느정도 인지
- 기대 효과는 무엇인가
삼성전자의 기안서 작성 원칙, 1매 Best! 2매 Better!
- 되도록이면 1페이지 안에 결론을 요약하여 기술하고 세부사항을 정리한다. 부연 설명이 필요한 부분은 첨부로 대체한다.
- 기획서의 핵심만 정확하게 작성한다. 5W2H 중에서 What, Why, How, How much에 대해 명확히 표현한다.
- 기획자가 설명하지 않아도 결재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항목 구분을 명확하게 한다.
- 비교할 수 있는 사례나 데이터를 통해 결재를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자료를 활용한다.
기본 서식에 충실하라
분칠에 집중하는 우를 범하지 마라
- 자신의 생각을 간단명료하게 전달하는 능력을 키워라
- 기획서에는 ‘~입니다’보다 명사형 종결어미가 적합
삼성, 전방위 마케팅 기획서의 성공사례
기획서 검토할 때 상사가 꼭 하는 질문 Best 3
- 지금 이 기획서가 왜 필요한가?
- 이렇게 하면 시장이 창출되는가?
- 실행할 수 있는가?
논리적인 기획서 작성의 3단계
- 기획 목적 논리화
- 기획 전략 구체화 기획서 작성 및 전달
결재를 잘 받는 기획서일수록 숫자로 말한다
- 달성 목표는 구체적인 숫자로 정하라
- 기대효과, 투자 대비 매출, 이익 발생은 모두 숫자로 표기
- 숫자를 넣으면 실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 그래프와 도표를 적절하게 활용하라
고객 입장에서 기획서를 생각하라
- 1차 고객인 상사와 회사의 결재를 구해야 한다.
- 2차 대상인 소비자의 의견을 반영하라.
차별화된 콘셉트로 기획서를 작성하라
기획서 제출 후 분석과 사후관리를 잊지 마라
자료 출처: 1등 기획서 상식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