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심리학

  • 당신의 눈은 속고 있다: 터널 시각이 우리의 일상을 어떻게 지배하는가?

    당신의 눈은 속고 있다: 터널 시각이 우리의 일상을 어떻게 지배하는가?

    터널 시각

    인지적 이력. 이력이라는 불리는 자기학의 현상에서 따온 것인데, 이력은 어떤 물질이 어떤 방향으로 자력을 가지면, 반대 방향의 자력을 갖도록 바꾸기가 어렵다는 속성을 가리킨다. 기능적 고착, 인지적 편협, 터널 시각이 그것이다. 사람들은 능동적인 가설에 초점을 맞추려는 경향이 있으며, 한번 초점이 맞춰지면 모순된 증거가 앞에 있을 때조차 잘 바꾸려고 하지 않는다.

    우리가 필요한 것은 과거의 통계자료와 사건에 대한 풍부하고, 상호작용적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는 기계로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자동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에게 여러 선택 가능성들을 상기시켜줄 것이며, 또한 다른 해석이 들어맞을지도 모를 가능성을 감안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우리는 예외적인 환경에 대해서 경계하기를 원할 뿐이지, 모든 상황을 어떤 드물거나 이색적인 경우로 진단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왜 우리는 오류를 범하는가? 부분적으로, 우리의 기술을 통해서 우리에게 부과된 기계중심의 과제가 우리의 근본적인 능력과 상층된 방식으로 행동하기를 강요하기 때문이다. 100% 실수하는 방법이 있따. 바뀌지 않는 환경에서 상세한 것을 기억해야 하고 오랫동안 신경을 집중해야 하는 작업을 설계하라. 특히 그 환경이 그것이 그것 같은 조작 장치가 일렬로 줄 지어 있는 것이라면, 그것들을 읽고, 조작하는 데에서 오류가 일어나리라는 것을 장담할 수 있다.

    만일 그 과제가 이치에 닿지 않으면, 오류가 일어날 것이다. 인간은 사리를 맞추는 데 능숙하지만, 무의미한 것을 다루는 데에는 그렇지 않다. 우리는 상호작용하는 일에 대한 정신적 설명인 정신모형을 고안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주지 않는다면, 우리는 부적절한 모형을 아주 잘 만들어낼지 모른다. 게다가 우리가 계속 정보를 얻고, 초점을 맞추고 설명을 보충하는 우리의 경향이 실제 상황에 계속 일치하도록 유지하려면 피드백은 필수적이다. 고도로 정확한 반복이란 우리의 강점이 아니다. 상상적이며, 통찰 있는 해석이 강점인 것이다.

    사람은 오류를 범하며, 특히 우리와 어울리지 않는 일을 해야 할 때 그렇다. 기술을 디자인하는 비결은 오류를 최소화하고, 오류의 피해를 최소로 하고, 일단 오류가 발생하면 그것을 발견할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상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이 인간중심적인 길이다.

    도널드 노먼의 디자인 심리학, 도널드 노먼


    우리는 매일 수많은 정보와 선택의 홍수 속에서 살아갑니다. 스마트폰을 켜는 순간부터 잠들기 전까지, 우리는 끊임없이 무언가를 보고, 듣고, 결정합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우리의 뇌는 얼마나 많은 정보를 놓치고 있을까요? 오늘은 ‘터널 시각’이라는 인지적 편향이 우리의 일상을 어떻게 지배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터널 시각: 우리가 보지 못하는 것들

    닐슨 노먼 그룹(Nielsen Norman Group)에 따르면, 터널 시각은 사용자가 화면의 특정 부분에만 집중하여 다른 중요한 정보를 놓치는 현상을 말합니다[1]. 이는 단순히 웹사이트나 앱 사용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일상 속 터널 시각의 사례

    1. 슈퍼마켓에서의 쇼핑
      우리는 종종 특정 상품을 찾느라 다른 좋은 할인 상품들을 놓치곤 합니다. 목표한 상품에만 집중하다 보니, 주변의 다른 기회를 놓치는 것이죠.
    2. 스마트폰 사용
      알림을 확인하느라 정작 중요한 일정이나 메시지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화면의 특정 부분에만 집중하다 보니 다른 중요한 정보를 놓치는 것입니다.
    3. 운전 중 내비게이션 사용
      내비게이션 화면에만 집중하다가 실제 도로 상황이나 교통 표지판을 놓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매우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터널 시각의 원인

    터널 시각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닐슨 노먼 그룹의 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작용합니다[1][4]:

    1.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
      인간의 뇌는 한 번에 모든 정보를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인지적 부하(Cognitive Load)
      너무 많은 정보가 주어지면 뇌는 과부하 상태가 되어, 일부 정보를 무시하게 됩니다.
    3. 기대와 경험
      우리는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특정 정보가 어디에 있을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이로 인해 다른 위치에 있는 중요한 정보를 놓칠 수 있습니다.

    터널 시각의 위험성

    터널 시각은 단순히 정보를 놓치는 것 이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2][3]:

    1. 의사결정의 오류
      중요한 정보를 놓치면 잘못된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기회의 상실
      새로운 기회나 아이디어를 놓칠 수 있습니다.
    3. 편견의 강화
      이미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믿음을 강화하는 정보만 선택적으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4. 창의성 저하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지 못하게 되어 창의적인 문제 해결이 어려워집니다.

    터널 시각 극복하기: UX 디자인의 해법

    닐슨 노먼 그룹은 터널 시각을 극복하기 위한 UX 디자인 전략을 제시합니다[1][4]:

    1. 관련 정보 근접 배치
      서로 관련된 정보는 가까이 배치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시각적 계층 구조 활용
      중요한 정보는 크기, 색상, 위치 등을 통해 눈에 띄게 만듭니다.
    3. 사용자 행동 패턴 분석
      사용자가 주로 어디를 보는지 분석하여 중요한 정보를 적절히 배치합니다.
    4. 명확한 내비게이션 제공
      사용자가 전체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명확한 내비게이션을 제공합니다.

    일상에서 터널 시각 극복하기

    UX 디자인의 원칙을 우리의 일상생활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의식적인 주의 분산
      특정 작업에 집중할 때도 주기적으로 주변을 살펴보는 습관을 들입니다.
    2. 다양한 정보원 활용
      한 가지 출처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관점의 정보를 찾아봅니다.
    3. 정기적인 ‘디지털 디톡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벗어나 주변 환경을 관찰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4. 마인드풀니스 실천
      현재 순간에 집중하는 명상 등의 활동을 통해 주의력을 향상시킵니다.
    5. 체크리스트 활용
      중요한 정보나 작업을 놓치지 않도록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활용합니다.

    결론: 넓은 시야로 세상 보기

    터널 시각은 우리의 생존과 효율성을 위해 진화한 인지적 특성입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오히려 우리의 판단과 경험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의식적으로 노력하여 이러한 편향을 극복하고, 더 넓은 시야로 세상을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에 중요한 결정을 내리거나 새로운 정보를 접할 때, 잠시 멈추고 생각해보세요. “내가 놓치고 있는 것은 없을까?” “다른 관점에서는 어떻게 보일까?” 이러한 질문들이 우리의 시야를 넓히고, 더 풍부한 경험과 현명한 판단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터널 시각은 피할 수 없는 인지적 특성이지만, 이를 인식하고 극복하려는 노력을 통해 우리는 더 넓은 세상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조금 더 주의 깊게 주변을 살펴보는 습관을 들여보는 건 어떨까요?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더 많은 기회와 아이디어, 그리고 새로운 관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인용:
    [1] https://www.nngroup.com/articles/psychology-study-guide/
    [2] https://managemagazine.com/article-bank/self-handicapping-leadership/tunnel-vision-its-drawbacks-and-how-to-stay-clear-of-it/
    [3] https://www.marugroup.net/insights/blog/tunnel-vision-error-plagues-insights
    [4] https://www.nngroup.com/articles/tunnel-vision-and-selective-attention/

  • 당신이 매일 저지르는 실수, 그 이유를 아십니까?

    당신이 매일 저지르는 실수, 그 이유를 아십니까?

    오류

    실수를 범하는 것이 인간이다.

    오류에는 두 가지 주요한 종류가 있다. 즉, 실수와 착오가 있다. 실수는 의도한 것이 아닐 때 일어나는데, 예컨대 누군가 커피 잔에 소금을 쏟거나, 컵에 새로 부은 커피를 쓰레기통에 비우고, 커피 찌꺼기를 마실 때 일어난다. 착오는 실수보다 훨씬 더 심각한 결과를 낳는다.

    • 인간 기억은 사건의 세부 사항이 아닌, 의미와 요지를 기억하도록 잘 조정되어 있다.
    • 인간은 본질적으로 한 번에 하나의 과제에만 집중할 수 있다. 또 그마저도 오랫동안 집중하기도 힘들다. 기본적으로 우리는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우리는 끊임없이 유지되는 것이 아닌, 변화하는 사건에 더 주의를 기울인다. 이것은 기억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규칙적이고, 되풀이되는 사건보다는 새롭고, 예상치 못한 사건을 더 잘 기억하는 경향이 있다.
    • 인간은 과거에 비슷해 보이는 일들과 짝짓기하는 패턴 인식의 동물이다.

    도널드 노먼의 디자인 심리학, 디자인


    우리는 매일 수많은 결정을 내리고 행동합니다. 아침에 일어나 커피를 마시는 것부터 잠들기 전 알람을 맞추는 것까지, 우리의 일상은 끊임없는 선택의 연속입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우리는 얼마나 많은 실수를 저지르고 있을까요? 오늘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발생하는 실수들과 그 원인, 그리고 이를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수와 착오: 인간 오류의 두 가지 유형

    닐슨 노먼 그룹(Nielsen Norman Group)에 따르면, 인간의 오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실수(slips)와 착오(mistakes).

    1. 실수(Slips): 올바른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실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예를 들어, 커피에 설탕 대신 소금을 넣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2. 착오(Mistakes): 잘못된 목표나 계획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예를 들어, 잘못된 길로 들어서서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발생하는 실수들

    1. 주의력 분산으로 인한 실수

    사례: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
    많은 사람들이 운전 중에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내비게이션을 조작합니다. 이는 주의력 분산으로 인한 대표적인 실수입니다.

    예방법:

    • 운전 전 목적지를 미리 설정하세요.
    • 스마트폰은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두세요.
    • 음성 명령 기능을 활용하세요.

    2. 기억력 부족으로 인한 실수

    사례: 중요한 약속 잊기
    바쁜 일상 속에서 중요한 약속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예방법:

    • 디지털 캘린더를 활용하세요.
    • 알림 기능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세요.
    • 중요한 일정은 여러 번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3. 자동화된 행동으로 인한 실수

    사례: 평소와 다른 경로로 가야 하는데 습관적으로 평소 경로로 가기
    매일 같은 경로로 출퇴근하다 보면, 다른 곳에 가야 할 때도 습관적으로 평소 경로로 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방법:

    • 새로운 목적지로 갈 때는 미리 경로를 확인하세요.
    • 평소와 다른 행동을 할 때는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세요.

    4. 멀티태스킹으로 인한 실수

    사례: 요리하면서 전화통화하다가 음식 태우기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하려다 보면 중요한 것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방법:

    • 한 번에 한 가지 일에 집중하세요.
    • 중요한 작업을 할 때는 방해 요소를 제거하세요.

    5. 피로로 인한 실수

    사례: 피곤할 때 중요한 이메일 보내기
    피로한 상태에서는 판단력이 떨어져 실수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예방법:

    • 중요한 결정이나 작업은 컨디션이 좋을 때 하세요.
    •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세요.

    실수를 줄이기 위한 UX 디자인 전략

    닐슨 노먼 그룹은 실수를 줄이기 위한 여러 UX 디자인 전략을 제시합니다:

    1. 기억 부담 줄이기

    사용자가 많은 정보를 기억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실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적용 사례: 온라인 쇼핑몰에서 ‘최근 본 상품’ 기능 제공

    2. 오류 발생 전 경고하기

    사용자가 실수를 저지르기 전에 미리 경고를 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적용 사례: 이메일 작성 시 ‘첨부파일’ 언급했는데 파일을 첨부하지 않은 경우 경고 메시지 표시

    3. 실수 복구 용이성 제공

    실수를 했을 때 쉽게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합니다.

    적용 사례: 문서 편집 프로그램의 ‘실행 취소’ 기능

    4. 일관성 있는 디자인 사용

    일관성 있는 디자인은 사용자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 실수를 예방합니다.

    적용 사례: 모바일 앱에서 일관된 네비게이션 바 사용

    5. 명확한 피드백 제공

    사용자의 행동에 대해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적용 사례: 폼 제출 후 성공/실패 메시지 표시

    실수를 대하는 올바른 자세

    실수는 인간이기에 피할 수 없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실수를 어떻게 대하느냐입니다.

    1. 실수를 학습의 기회로 삼기: 실수를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 생각해보세요.
    2. 과도한 자책 피하기: 모든 사람이 실수를 합니다. 자신에게 너무 가혹하지 마세요.
    3. 실수의 패턴 파악하기: 반복되는 실수가 있다면 그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 방법을 찾아보세요.
    4. 실수 예방 시스템 만들기: 체크리스트 활용, 중요한 일정 알림 설정 등 실수를 예방할 수 있는 개인적인 시스템을 만들어보세요.
    5. 마인드풀니스 실천하기: 현재에 집중하는 습관을 기르면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결론: 실수는 성장의 기회

    실수는 피할 수 없지만, 그것을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삶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실수를 두려워하지 말고, 그것을 통해 배우고 성장하는 기회로 삼으세요. 동시에 UX 디자인과 같은 외부적 도움을 통해 실수를 최소화하는 환경을 만들어가는 것도 중요합니다.

    우리는 완벽할 수 없지만, 조금씩 나아질 수 있습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여러분의 일상에서 어떤 실수들이 발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것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세요. 그리고 기억하세요. 실수는 실패가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가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한 과정의 일부일 뿐입니다.


    인용:
    [1] https://www.thehealthy.com/habits/everyday-mistakes/
    [2] https://humanerrorsolutions.com/the-unseen-human-errors-occurring-everyday/
    [3] https://www.nngroup.com/articles/user-mistakes/
    [4] https://www.nngroup.com/articles/error-message-guidelines/

  • 당신의 UX 디자인이 실패하는 이유: 스토리텔링의 마법을 놓치고 있진 않나요?

    당신의 UX 디자인이 실패하는 이유: 스토리텔링의 마법을 놓치고 있진 않나요?

    이야기의 힘

    중요한 결정은 배경 정보를 고려해서 내려진다. 이야기에는 중요하고 어쩔 수 없는 점이 있는데, 이 점은 아주 자세히 고려할 만하다. 이야기를 통해 경험을 요약하고, 사건의 본질과 그 주변 맥락을 포착할 수 있다. 이야기는 중요한 인지적 사건이다. 왜냐하면 이야기는 정보, 지식, 맥락, 감정 등이 하나로 잘 구성된 꾸러미이기 때문이다. 문맥은 큰 차이를 만든다. 우리가 말하는 이야기란 남에게 설명할 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에게 설명하는 것이다. 이야기는 형식적 결정 방법이 놓치는 요소들을 정확하게 잡아내는 교묘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논리는 일반화하고, 의사 결정을 특정한 맥락으로부터 떼어내려고 하며, 주관적 감정을 제거하려고 한다. 이와 정반대로 이야기는 맥락과 감정을 포착한다. 논리는 일반화하여, 이야기는 특수화한다. 논리는 상황에서 벗어난 전체적인 판단을 하게 하는 반면, 이야기는 개인적 관점을 갖게 하며 그 사람이 내려진 결정으로부터 받은 특수한 영향을 이해하도록 해준다. 이야기는 논리보다 나을 게 없으며, 논리는 이야기보다 나을 게 없다. 두 가지는 별개이며, 다른 기준을 강조한다. 나는 의사 결정을 할 때 이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아주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도널드 노먼의 디자인 심리학, 도널드 노먼


    우리는 매일 수많은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합니다. 스마트폰을 켜는 순간부터 잠들기 전 알람을 맞추는 순간까지, 우리의 일상은 다양한 사용자 경험(UX)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경험들이 우리에게 얼마나 깊은 인상을 남기고 있을까요? UX 디자인에서 스토리텔링의 힘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다면, 그 답은 ‘매우 깊은 인상’일 것입니다. 오늘은 UX 디자인에서 스토리텔링의 중요성과 그 적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왜 스토리텔링인가?

    닐슨 노먼 그룹(Nielsen Norman Group)에 따르면, 스토리텔링은 UX 디자인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단순한 데이터나 기능 나열로는 사용자의 마음을 움직이기 어렵습니다. 스토리텔링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1. 공감 유발: 사용자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전개함으로써 팀원들과 이해관계자들이 사용자와 공감할 수 있게 합니다.
    2. 기억력 향상: 이야기 형식으로 전달된 정보는 단순 사실보다 더 오래, 더 정확하게 기억됩니다.
    3. 복잡한 개념 설명: 추상적인 아이디어나 복잡한 기능을 이야기로 풀어내면 이해하기 쉬워집니다.
    4. 창의성 자극: 잘 구성된 이야기는 청중의 상상력을 자극하여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을 촉진합니다.
    5. 설득력 증가: 감정적 연결을 통해 청중을 설득하고 행동 변화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UX 스토리텔링의 실제 사례

    1. 온보딩 프로세스 개선

    문제: 새로운 앱을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주요 기능을 이해하지 못하고 이탈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스토리텔링 적용:
    “만나서 반가워요! 저는 당신의 새로운 디지털 비서, 알렉스예요. 함께 앱을 둘러보면서 어떻게 당신의 일상을 더 편리하게 만들 수 있는지 알아볼까요? 먼저, 이 버튼을 눌러보세요. 와! 당신의 첫 번째 할 일 목록이 생겼어요. 이제 함께 하루를 계획해볼까요?”

    이런 식의 스토리텔링 방식을 통해 사용자는 앱의 기능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되고, 앱과 감정적 연결을 형성하게 됩니다.

    2.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구매 경험 개선

    문제: 사용자들이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아도 최종 구매로 이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스토리텔링 적용:
    “잠깐만요! 지금 장바구니에 담으신 그 청바지, 정말 멋진 선택이에요. 알고 계셨나요? 이 청바지는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생산되었고, 구매하시면 수익의 일부가 환경 보호 단체에 기부됩니다. 당신의 스타일도 살리고, 지구도 살리는 일석이조의 기회예요. 어떠세요, 함께 좋은 일에 동참해보시겠어요?”

    이러한 스토리텔링은 단순한 제품 구매를 의미 있는 경험으로 전환시켜, 구매 결정을 촉진합니다.

    3. 건강 관리 앱의 사용자 참여도 향상

    문제: 사용자들이 초기에는 열심히 앱을 사용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사용 빈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스토리텔링 적용:
    “안녕하세요, 마이크! 오늘로 당신이 우리 앱과 함께한 지 30일이 되었어요. 축하드려요! 이 30일 동안 당신은 총 50,000보를 걸었고, 5kg의 체중 감량에 성공했어요. 이제 당신은 한 달 전의 당신보다 더 건강하고 활력 넘치는 사람이 되었어요. 다음 달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함께 새로운 도전을 시작해볼까요?”

    이러한 개인화된 스토리텔링은 사용자의 성취감을 고취시키고, 지속적인 앱 사용을 유도합니다.

    효과적인 UX 스토리텔링을 위한 6가지 규칙

    닐슨 노먼 그룹은 효과적인 UX 스토리텔링을 위한 6가지 규칙을 제시합니다:

    1. 명확한 주인공 설정: 스토리의 중심에는 항상 사용자가 있어야 합니다. 사용자의 목표, 동기, 감정을 명확히 제시하세요.
    2. 구체적인 맥락 제공: 사용자가 처한 상황, 환경, 제약 조건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세요. 이는 청중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데 중요합니다.
    3. 데이터로 뒷받침: 스토리는 흥미롭게, 하지만 근거 있게 만드세요. 실제 사용자 조사 데이터나 통계를 활용하여 신뢰성을 높이세요.
    4. 감정적 연결 형성: 단순한 기능 나열이 아닌, 사용자의 감정 변화를 보여주는 스토리를 만드세요. 이는 청중의 공감을 얻는 데 효과적입니다.
    5. 간결하고 명확하게: 불필요한 세부사항은 과감히 생략하고, 핵심 메시지에 집중하세요.
    6. 해결책 제시: 문제 상황을 제시한 후에는 반드시 해결책을 함께 제시하세요. 이는 청중에게 행동의 동기를 부여합니다.

    UX 스토리텔링의 실제 적용 방법

    1. 페르소나 개발: 대표적인 사용자 유형을 구체적인 캐릭터로 만들어 스토리의 주인공으로 활용합니다.
    2. 사용자 여정 맵: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전체 과정을 스토리 형식으로 시각화합니다.
    3. 시나리오 작성: 특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제품을 어떻게 사용할지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작성합니다.
    4. 스토리보드 제작: 주요 사용 장면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팀원들과 공유합니다.
    5. 프로토타입 시연: 새로운 기능이나 디자인을 소개할 때, 단순한 기능 설명 대신 스토리를 통해 시연합니다.

    결론: 스토리텔링, UX 디자인의 새로운 무기

    UX 디자인에서 스토리텔링의 힘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잘 구성된 스토리는 사용자의 니즈를 더 깊이 이해하게 하고, 팀원들의 창의성을 자극하며, 이해관계자들을 설득하는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

    다음에 새로운 UX 디자인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단순히 기능 목록을 나열하는 대신 사용자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그리고 그 이야기 속에서 여러분의 제품이 어떻게 주인공의 삶을 변화시키는지 보여주세요. 그렇게 하면, 여러분의 UX 디자인은 단순한 인터페이스를 넘어 사용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강력한 경험이 될 것입니다.

    스토리텔링은 UX 디자인의 모든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사용자 조사에서부터 최종 프레젠테이션까지, 스토리의 힘을 빌려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더욱 설득력 있게 전달해보세요. 그리고 기억하세요. 가장 좋은 UX는 단순히 사용하기 쉬운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마음에 오래 남는 것입니다. 스토리텔링은 바로 그런 잊지 못할 경험을 만드는 열쇠입니다.


    인용:
    [1] https://www.nngroup.com/articles/two-tips-better-ux-storytelling/
    [2] https://www.mauriziolacava.com/en/the-impact-of-storytelling-in-business/
    [3] https://www.nngroup.com/articles/ux-stories/
    [4] https://maestrogroup.co/influence-decisions-with-the-power-of-storytelling/
    [5] https://www.nngroup.com/articles/persuasive-storytelling/

  • UX 디자인의 마법: 당신의 뇌는 어떻게 속고 있는가?

    UX 디자인의 마법: 당신의 뇌는 어떻게 속고 있는가?

    인간의 인지

    인간은 탁월한 지각적 존재다. 체험적 방식은 우리들이 좋아하는 작업 방식이다. 패턴을 보고 즉각적으로 이해한다. 빈번하지 않은 사건들에 얽힌 문제는 그것들이 정말로 드문 일이라는 점이다. 그런 사건들이 발생했을 때, 재빨리 가동되는 우리의 인식 장치는 벌써 행동을 개시하여 우리가 이미 알고 있었던 것으로, 더 자주 마주쳤던 것으로 분류해버리기 십상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우리는 보통 처음의 판단이 옳다고 확신하여 좀처럼 그것을 의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도널드 노먼의 디자인 심리학, 도널드 노먼


    우리는 매일 수많은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하며 살아갑니다. 스마트폰을 켜는 순간부터 잠들기 전 알람을 맞추는 순간까지, 우리의 일상은 다양한 사용자 경험(UX)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경험들이 우리의 인지 과정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알고 계셨나요? UX 디자인은 인간의 인지 특성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오늘은 UX 디자인에서 다루는 인간의 인지 특성과 그 적용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인간의 인지: UX 디자인의 핵심

    닐슨 노먼 그룹(Nielsen Norman Group)에 따르면, UX 디자인의 핵심은 심리학과 기술의 결합입니다[1]. 인간의 인지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우리는 더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제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인간의 인지 특성 중 UX 디자인에서 특히 중요하게 다루는 몇 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주의력(Attention)

    인간의 주의력은 제한적입니다. 우리는 한 번에 모든 것에 주의를 기울일 수 없으며, 뇌는 자동으로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필터링합니다[1].

    일상 속 사례: 스마트폰 홈 화면을 생각해보세요. 수많은 앱 아이콘 중에서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앱은 쉽게 찾을 수 있지만, 거의 사용하지 않는 앱은 찾기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이는 우리의 주의력이 중요한 정보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UX 디자인 적용: 디자이너들은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중요한 정보나 기능을 눈에 띄게 배치합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의 ‘구매하기’ 버튼을 다른 요소들보다 크고 눈에 띄는 색상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2. 기억(Memory)

    인간의 기억은 크게 인식(Recognition)과 회상(Recall)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합니다[6].

    인식: 이미 본 적이 있는 정보를 식별하는 능력
    회상: 기억 속에서 정보를 끄집어내는 능력

    일상 속 사례: 친구의 얼굴을 보고 그 사람을 알아보는 것은 인식이고, 친구의 이름을 떠올리는 것은 회상입니다.

    UX 디자인 적용: 디자이너들은 가능한 한 인식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인터페이스를 설계합니다. 예를 들어, 복잡한 명령어를 기억하게 하는 대신 메뉴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합니다.

    3. 인지 부하(Cognitive Load)

    인지 부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정신적 노력을 의미합니다[2].

    일상 속 사례: 새로운 스마트폰을 처음 사용할 때, 모든 기능을 한 번에 이해하려고 하면 머리가 복잡해지는 경험을 해보셨을 것입니다.

    UX 디자인 적용: 디자이너들은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해 정보를 단계적으로 제공하거나, 복잡한 작업을 더 작은 단계로 나누는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의 결제 과정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사용자가 한 번에 처리해야 할 정보량을 줄이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4. 게슈탈트 원리(Gestalt Principles)

    게슈탈트 원리는 인간이 시각적 요소를 어떻게 인식하고 그룹화하는지를 설명합니다[2].

    일상 속 사례: 별자리를 볼 때, 우리는 개별 별들을 하나의 형태로 인식합니다.

    UX 디자인 적용: 디자이너들은 이 원리를 활용하여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그룹화합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의 메뉴 항목들을 서로 가깝게 배치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인식되게 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5. 정서적 디자인(Emotional Design)

    인간의 감정은 사용자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2].

    일상 속 사례: 좋아하는 브랜드의 제품을 사용할 때 느끼는 만족감이나, 불편한 인터페이스로 인해 느끼는 좌절감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UX 디자인 적용: 디자이너들은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하는 요소들을 디자인에 포함시킵니다. 예를 들어, 작업 완료 시 축하 메시지를 보여주거나, 친근한 캐릭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와 소통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UX 디자인에서의 인지 원리 적용

    이제 이러한 인지 원리들이 실제 UX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정보 구조화

    인간의 인지 특성을 고려한 정보 구조화는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고 이해할 수 있게 돕습니다.

    사례: 아마존의 제품 페이지를 보면, 제품 이미지, 가격, 설명, 리뷰 등이 논리적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정보를 쉽게 탐색하고 구매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시각적 계층 구조

    시각적 계층 구조는 정보의 중요도를 표현하고 사용자의 주의를 효과적으로 유도합니다.

    사례: 뉴스 웹사이트에서 헤드라인은 큰 글씨로, 부제목은 중간 크기로, 본문은 작은 글씨로 표현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3. 피드백과 상호작용

    즉각적인 피드백은 사용자의 행동을 확인하고 다음 단계를 안내합니다.

    사례: 버튼을 클릭했을 때 색상이 변하거나, 폼 제출 후 확인 메시지가 표시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4. 일관성

    일관된 디자인은 사용자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 직관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사례: iOS나 Android의 기본 앱들은 일관된 디자인 언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앱을 쉽게 익힐 수 있게 합니다.

    5. 오류 예방과 복구

    인간은 실수를 하기 마련입니다. 좋은 UX 디자인은 이를 예방하고, 실수가 발생했을 때 쉽게 복구할 수 있게 합니다.

    사례: 이메일 클라이언트에서 ‘보내기’ 버튼을 눌렀을 때 잠시 지연 시간을 두고 취소 옵션을 제공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결론: UX 디자인과 인간 인지의 미래

    UX 디자인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으며, 인간의 인지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수록 더욱 직관적이고 효과적인 디자인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인공지능(AI)과 같은 새로운 기술의 발전은 개인화된 UX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인지 부하를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할 것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우리는 기술이 인간의 인지 능력을 보완하되, 대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UX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표는 기술을 통해 인간의 능력을 확장하고, 더 나은 삶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앞으로 UX 디자이너들은 인간의 인지 특성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더욱 혁신적이고 사용자 중심적인 디자인을 만들어낼 것입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우리의 일상은 더욱 편리하고 풍요로워질 것입니다.


    인용:
    [1] https://www.nngroup.com/articles/psychology-study-guide/
    [2] https://www.linkedin.com/pulse/psychology-behind-effective-ux-design-exploring-cognitive
    [3] https://www.uxpin.com/studio/blog/cognitive-psychology-for-ux-design/
    [4] https://uxplanet.org/psychology-in-ux-design-understanding-cognitive-psychology-in-ux-design-375c940d34ab?gi=585958f53344
    [5] https://www.thepsi.com/human-cognition-for-ux-design/
    [6] https://www.nngroup.com/articles/recognition-and-recall/

  • UX 디자인에서 발견하는 인간 지능의 놀라운 진화: 일상 속 숨겨진 비밀

    UX 디자인에서 발견하는 인간 지능의 놀라운 진화: 일상 속 숨겨진 비밀

    인간 지능의 기원

    인간 지능은 일련의 진화적 단계들을 거쳐 그것의 힘이 외적, 인공적 표상에 크게 의존하는 현재의 형태로 진화했다고 주장한다. 특히, 그는 유인원은 주로 일화적 기억구조를 지녔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복잡한 사건을 경험할 수는 있지만, 그런 사건에서 비약적인 추상화를 이끌어낼 수는 없다.

    1. 일화적 기억: 어쩌면 이것이 유인원과 인간의 공통 조상의 인지적 수준일 것이다. 이 단계의 인지에서, 동물은 세상의 사건에 대한 정신적 표상을 형성하는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 특히, 그들은 특정한 일화와 세상의 상태를 기억하는 능력이 제한되어 있어서, ‘일화적 기억의 단계’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나는 이것은 ‘경험적 단계’라 부를 것이다.
    2. 모방: 우리는 일화적 단계에 있는 동물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데, 이제는 인간 진화에 대한 가설적 단계로 옮겨가 보자. 즉, 몸짓 표현-모방의 단계가 그것이다. 여기에서 내적 표상을 형성하는 능력은 욕망과 욕구를 포함하게 되는데, 이러한 욕망을 뛰어넘기 위해 몸을 움직여 표현하는 것이다. 처음으로 의도와 심적 상태에 관한 세련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된다.
    3. 신화: 몸짓 표현은 언어로 나아가는 첫 단계다. 인간의 인지적 진화에서 두 번째 단계는 여전히 가설적이지만 언어 발달의 단계인데, 여기에서 몸짓은 언어를 발생시켰다. 이제, 처음으로 동물들은 풍부한 개념과 생각을 서로 전달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집단적 계획과 활동에 큰 역할을 했다. 언어 및 증가된 표상 능력으로 인생의 사건들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신화, 이야기가 읊어지게 되었다.
    4. 외적 표상: 마지막 단계는 현대 인간의 단계이다. 오늘날 동작으로 표현하고, 언어를 쓰고, 사유하는 능력은 기록하는 힘과 외적 표상 및 도구를 통해서 확장되었다. 달리 말해서, 오늘날의 세계에서, 우리는 진화를 우리 손으로 떠맡게 되었다. 내가 ‘인지적 인공물’이라 부른 외부적 도구를 이용함으로써 우리의 능력은 생물학적 유산만으로 가능한 한도 너머로 확장될 수 있다. 인간 진화의 미래는 이제 기술을 통해서 열릴 것이다.

    아이에게 적절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과 부모의 행동이 아이에게 바로 그 지식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사람들은 이것을 할 수 있지만, 다른 동물들을 할 수 없다.

    모방을 하는 것은 굳이 복잡한 언어를 쓰지 않고도 다른 이에게 생각을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이것이 도널드가 영장류 지능 이상의 다음 단계로 모방의 단계를 설정한 이유다. 그것은 일단 언어만큼 진보된 단계는 아니지만, 가장 진보된 동물이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진보한 단계이다.

    모방은 강력한 의사소통 도구다. 언어는 생각을 표현하는 강력한 도구다. 복잡한 계획을 세우는 것도 인간의 탁월한 정신적 활동의 결과이다. 그러한 계획 세우기는 매일 행동에서, 추리에서, 무언가를 어떻게 말해야 할지를 고르는 데에서도 쓰인다. 속임수에 대한 연구는 여러 동물의 뇌의 능력의 한계를 드러내 준다. 즉, 인간 수준에서 누군가를 속인다는 것도 마찬가지로 계획 세우기와 분석을 필요로 한다.

    인간은 사고를 도울 수 있는 외부 장치를 고안함으로써, 지력의 한계를 극복해 왔다. 우리는 마음의 표상적 힘을 인지적 인공물을 통한 외부적 구조물과 표상들을 통해서 확장할 수 있따. 이점이 도널드와 내가 현재와 미래의 인간 마음의 진정한 힘은 기술에 있다고 믿는 이유다. 기술을 통해서, 우리는 자신의 인지 능력과 결합된 외적 표상들과 시스템을 발전시키고, 가능성을 훨씬 넘어서는 달성을 이룩할 것이다.

    도널드 노먼의 디자인 심리학, 도널드 노먼


    우리는 매일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컴퓨터로 작업하며, 다양한 디지털 기기와 상호작용합니다. 이러한 일상적인 경험들이 실은 인간 지능의 오랜 진화 과정을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UX 디자인은 이러한 인간 지능의 특성을 깊이 이해하고 활용하여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오늘은 UX 디자인의 관점에서 바라본 인간 지능의 기원과 그 특징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일화적 기억: 경험을 통한 학습

    인간 지능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일화적 기억입니다. 이는 특정 사건이나 경험을 기억하는 능력으로, UX 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상 속 사례:

    • 스마트폰 앱의 온보딩 프로세스: 처음 앱을 사용할 때 주요 기능을 차례로 소개하는 방식은 사용자의 일화적 기억을 활용합니다.
    • 이커머스 웹사이트의 ‘최근 본 상품’ 기능: 사용자의 browsing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한 이 기능은 일화적 기억을 보조합니다.

    UX 디자이너들은 이러한 일화적 기억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쉽게 기억하고 학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설계합니다.

    모방: 사회적 학습의 기초

    모방은 인간 지능 발달의 중요한 단계입니다.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따라하는 능력은 복잡한 기술을 습득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일상 속 사례:

    • 비디오 튜토리얼: YouTube나 온라인 학습 플랫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따라하기’ 형식의 콘텐츠는 모방 학습을 활용합니다.
    • 소셜 미디어의 ‘챌린지’ 트렌드: 특정 행동이나 동작을 따라하고 공유하는 현상은 모방 능력을 기반으로 합니다.

    UX 디자이너들은 이러한 모방 학습의 원리를 적용하여 직관적이고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만듭니다.

    언어와 상징: 추상적 사고의 발달

    언어의 발달은 인간 지능의 큰 도약이었습니다. 추상적 개념을 표현하고 복잡한 아이디어를 전달할 수 있게 되면서, 인간의 인지 능력은 크게 확장되었습니다.

    일상 속 사례:

    • 아이콘 디자인: 앱이나 웹사이트에서 사용되는 아이콘은 추상적 개념을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 내비게이션 메뉴: 웹사이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메뉴는 언어적, 상징적 표현을 활용합니다.

    UX 디자이너들은 언어와 상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복잡한 정보를 간결하게 전달하고, 사용자의 이해를 돕습니다.

    외적 표상: 인지적 도구의 활용

    현대 인간의 지능은 외적 표상, 즉 외부의 도구와 시스템을 활용하여 크게 확장되었습니다. 이는 UX 디자인의 핵심 영역이기도 합니다.

    일상 속 사례:

    • 디지털 캘린더: 스마트폰의 캘린더 앱은 우리의 기억력과 계획 능력을 보조합니다.
    • 검색 엔진: Google과 같은 검색 엔진은 우리의 지식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UX 디자이너들은 이러한 외적 표상 도구들을 설계하여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확장하고 보조합니다.

    UX 디자인에서의 적용: 인간 중심 설계

    UX 디자인은 이러한 인간 지능의 특성들을 고려하여 사용자 중심의 설계를 추구합니다. 닐슨 노먼 그룹의 연구에 따르면, 효과적인 UX 디자인은 다음과 같은 원칙들을 따릅니다:

    1. 일관성과 표준: 사용자의 학습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일관된 디자인 패턴을 사용합니다.
    2. 가시성: 시스템의 상태와 가능한 행동들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3. 사용자 컨트롤과 자유: 사용자가 실수를 쉽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합니다.
    4. 오류 예방: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방지합니다.
    5. 유연성과 효율성: 초보자와 전문가 모두를 위한 다양한 사용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원칙들은 인간 지능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으로, 사용자의 인지 부하를 줄이고 학습을 용이하게 만듭니다.

    미래의 UX 디자인: 인공지능과의 융합

    인간 지능의 진화는 계속되고 있으며, 이제는 인공지능(AI)과의 상호작용이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UX 디자인은 이러한 변화에 맞춰 진화하고 있습니다.

    향후 트렌드:

    • 개인화된 UI: AI가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학습하여 개인에게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 자연어 처리: 음성 인터페이스와 챗봇 등을 통해 더욱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가능해집니다.
    • 예측적 UX: 사용자의 다음 행동을 예측하여 선제적으로 정보나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발전은 인간의 인지 능력을 더욱 확장시키고, UX 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갈 것입니다.

    결론: UX 디자인, 인간 지능의 확장

    UX 디자인은 단순히 아름답고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그것은 인간 지능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고, 그 특성을 활용하여 우리의 인지 능력을 확장하는 도구를 만드는 작업입니다.

    일화적 기억, 모방, 언어와 상징, 외적 표상 등 인간 지능의 다양한 측면들은 UX 디자인의 기본 원리로 녹아들어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디지털 제품들은 이러한 원리들을 바탕으로 설계되어, 우리의 일상을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앞으로 UX 디자인은 인공지능과의 융합을 통해 더욱 발전할 것입니다. 개인화된 경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예측적 기능 등을 통해 인간의 인지 능력은 더욱 확장될 것입니다. 이는 단순히 기술의 발전이 아닌, 인간 지능의 새로운 진화 단계를 의미합니다.

    우리는 이제 기술을 통해 우리의 인지 능력을 확장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UX 디자인은 이러한 과정의 중심에 서 있으며, 인간과 기술의 더 나은 공존을 위한 길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UX 디자인이 어떻게 발전하고,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지켜보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 될 것입니다.


    인용:
    [1] https://brunch.co.kr/@bsypsywriter/1
    [2]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1150235.html
    [3]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ta/view.do?levelId=ta_h71_0030_0010_0010_0010
    [4]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1152760.html
    [5]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B%8A%A5
    [6] https://namu.wiki/w/%EC%A7%80%EB%8A%A5
    [7] https://www.lgcns.com/blog/cns-tech/ai-data/15644/
    [8] https://www.studysmarter.co.uk/explanations/math/applied-mathematics/information-theory/

  • 당신의 뇌는 정말 컴퓨터일까? 일상 속 정보 처리 이론의 놀라운 발견들

    당신의 뇌는 정말 컴퓨터일까? 일상 속 정보 처리 이론의 놀라운 발견들

    정보 이론, 인간의 문제 해결, 언어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진보함에 따라, 성능의 한계가 있기는 하겠지만, 문제를 해결하고, 질문에 답하고, 정보를 다룰 수 있는 그런 계기들이 등장할 것 같다. 저명한 과학자들이 예견했듯이, 기계가 인간의 지능을 능가하거나 같아질 날은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다.
    과학자는 새로운 결과나 선언을 믿지 말고 생소한 현상이나 관찰에 관한 첫 번째 보고를 의심하도록 교육받았다. 반면, 한번 과학자들이 그러한 발견을 믿게되면, 모든 의심은 사그라든다. 즉, 그들은 모든 무제를 풀 열쇠를 찾았다고 믿는다.

    인간의 뇌를 ‘우주에서 알려진 가장 복합한 구조’라고 표현할 만 하다. 그러나 단순히 뇌에서 일어나는 인지 작용보다 우리는 알아야 할 것이 더 많다. 왜냐하면 우리는 사회적이며, 상호작용하는 존재이기 떄문이다. 인생에서 중요한 많은 일들은 머리 밖에서, 세상과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 속에서 벌어진다.

    인간은 패턴이나 사건들에 의해 조종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아주 감정적이다. 우리는 타인의 문제에 공감하거나, 동정하거나, 비판한다. 우리는 판단을 내리고, 이유를 찾으며, 해석하고 이해하려고 한다. 인간의 언어는 수학적 기준으로 보면 너무나 복잡해서, 그것의 많은 속성들을 과학적으로 묘사하기는 여전히 어렵다.
    인간은 언어를 사용하고, 사고를 하며, 지식을 축적해가고, 커다란 협동 사회를 구축했더, 게다가 기술을 만들어내고 발전시키기 까지 한다. 반성적인 사고가 가장 중요하다.

    • 예술
    • 게임과 스포츠
    • 유머와 농담
    • 언어의 발명과 그것의 창의적이고 구성적인 사용 모두
    • 음악
    • 종교적 의식
    • 풍자
    • 학교 교육, 그리고 축적된 지식과 문화, 거기에서 한 세대의 발견이 다른 세대로 전해지며 이전의 발전 위에 새로운 성취가 쌓인다.
    • 스토리텔링
    • 아름다움에 대한 평가

    최초의 지식과 그 다음의 상위 지식을 표상할 수 있는 정교한 마음과, 표상을 형성하고 한 표상을 다른 것과 비교하고, 세상의 사건들을 인과적으로 설명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우리는 자신과 타인의 필요, 동기, 욕구, 능력을 표사항 수 있따. 우리 마음의 힘은 다른 사람의 관점을 고려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 마음의 표상적 능력에 있다. 우리는 타인의 행동을 그들의 의도와 욕구 때문이라고 생각하는데, 이것은 곧 우리가 자신과 타인의 마음에 대한 이론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인간은 설명하는 존재다. 우리는 세상사와 자신과 타인의 행동에 대한 이유와 원인, 설명을 찾으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설명들이 대표적인 시나리오들로 구성되어 ‘정신모형’을 창조한다. 정신모형은 우리가 이전 경험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미래의 경험을 더 잘 예견할 수 있도록 한다.

    도널드 노먼의 디자인 심리학, 도널드 노먼


    우리는 매일 수많은 정보를 접하고 처리합니다. 아침에 일어나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확인하고, 출근길에 교통 정보를 파악하며, 직장에서는 업무 관련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이처럼 우리의 일상은 끊임없는 정보 처리의 연속입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뇌는 이 모든 정보를 어떻게 처리할까요? 정보 처리 이론(Information Processing Theory)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합니다.

    정보 처리 이론이란?

    정보 처리 이론은 인간의 인지 과정을 컴퓨터의 정보 처리 방식에 비유하여 설명하는 이론입니다[4]. 이 이론에 따르면, 우리의 뇌는 마치 컴퓨터처럼 정보를 입력받고, 처리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1. 입력: 감각 기관을 통해 외부 정보를 받아들입니다.
    2. 처리: 받아들인 정보를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합니다.
    3. 저장: 처리된 정보를 단기 기억 또는 장기 기억에 저장합니다.
    4. 출력: 저장된 정보를 필요에 따라 꺼내 사용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상황에 적용됩니다.

    일상 속 정보 처리 이론의 적용

    1. 온라인 쇼핑

    온라인 쇼핑은 정보 처리 이론을 잘 보여주는 예시입니다[1].

    • 입력: 제품 이미지와 설명을 보고 정보를 받아들입니다.
    • 처리: 제품의 특징, 가격, 리뷰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합니다.
    • 저장: 관심 있는 제품을 위시리스트에 저장하거나 기억합니다.
    • 출력: 최종적으로 구매 결정을 내립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정보 향기(Information Scent)’라는 개념을 활용합니다[3]. 정보 향기란 특정 정보 소스가 우리의 목표와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서입니다. 예를 들어, 제품 설명에 우리가 찾는 키워드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면, 그 제품에 대한 정보 향기가 강하다고 판단하고 더 자세히 살펴보게 됩니다.

    2. 소셜 미디어 사용

    소셜 미디어 사용도 정보 처리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입력: 뉴스피드를 스크롤하며 다양한 게시물을 봅니다.
    • 처리: 각 게시물의 내용을 빠르게 파악하고 관심 정도를 판단합니다.
    • 저장: 흥미로운 정보는 ‘좋아요’를 누르거나 저장합니다.
    • 출력: 댓글을 달거나 공유하는 등의 반응을 보입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인식(Recognition)’과 ‘회상(Recall)’이라는 두 가지 기억 처리 방식을 사용합니다[2]. 예를 들어, 친구의 이름을 보고 그 사람을 떠올리는 것은 인식이고, 특정 사건을 떠올리며 관련된 친구를 생각해내는 것은 회상입니다.

    3. 업무 환경에서의 학습

    직장에서의 교육 및 훈련 과정도 정보 처리 이론을 적용하여 설계할 수 있습니다[4].

    • 입력: 교육 자료를 통해 새로운 정보를 접합니다.
    • 처리: 기존 지식과 새로운 정보를 연결하여 이해합니다.
    • 저장: 중요한 정보를 장기 기억에 저장합니다.
    • 출력: 학습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적용합니다.

    이 과정에서 ‘간격 반복(Spaced Repetition)’ 기법을 활용하면 효과적입니다. 이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정보를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으로, 장기 기억 형성에 도움을 줍니다.

    정보 처리 이론의 한계와 인간의 독특성

    정보 처리 이론은 인간의 인지 과정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지만, 인간의 모든 인지 활동을 완벽하게 설명하지는 못합니다. 인간의 뇌는 컴퓨터와 달리 감정, 직관, 창의성 등 복잡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예술 감상이나 음악 창작과 같은 활동은 단순한 정보 처리 과정으로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활동에는 개인의 경험, 감정, 문화적 배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인간은 불완전한 정보를 바탕으로도 추론과 판단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보 처리 이론의 실제 적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정보 처리 이론은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1][2][3].

    1. 메뉴 시스템: 메뉴는 사용자가 인식(Recognition)을 통해 원하는 기능을 찾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는 회상(Recall)보다 인식이 더 쉽다는 원리를 활용한 것입니다.
    2. 검색 기능: 검색은 사용자가 회상을 통해 키워드를 생성하고, 그 결과를 인식하는 과정입니다. 검색 제안 기능은 이 과정을 더욱 쉽게 만들어 줍니다.
    3. 정보 구조화: 웹사이트의 정보를 논리적으로 구조화하면 사용자가 더 쉽게 정보를 처리하고 기억할 수 있습니다.
    4. 시각적 계층 구조: 헤더, 서브헤더, 볼드체 등을 활용한 시각적 계층 구조는 사용자가 정보를 더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돕습니다.

    일상생활에서의 정보 처리 최적화

    정보 처리 이론을 이해하면 일상생활에서 정보를 더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1. 정보 분류: 중요한 정보와 그렇지 않은 정보를 구분하여 처리합니다. 예를 들어, 이메일을 확인할 때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고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2. 멀티태스킹 지양: 인간의 뇌는 동시에 여러 가지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한 번에 한 가지 작업에 집중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3. 정보 시각화: 복잡한 정보를 그래프, 차트, 다이어그램 등으로 시각화하면 더 쉽게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습니다.
    4. 적절한 휴식: 뇌도 휴식이 필요합니다. 집중력이 떨어질 때는 잠시 휴식을 취하고 다시 정보 처리에 집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정보 향기 활용: 정보를 찾을 때는 ‘정보 향기’가 강한 소스에 집중합니다. 예를 들어, 검색 결과에서 제목과 설명이 검색어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링크를 먼저 확인합니다.

    미래의 정보 처리: AI와 인간의 협력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으로 정보 처리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AI는 인간의 정보 처리 능력을 보완하고 확장시키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1. 개인화된 정보 필터링: AI는 개인의 관심사와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가장 관련성 높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는 정보 과부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자연어 처리: AI의 자연어 처리 능력이 향상되면서 음성 인식, 번역, 텍스트 요약 등의 기능이 더욱 정교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인간의 언어 정보 처리를 보조합니다.
    3. 패턴 인식: AI는 대량의 데이터에서 인간이 놓칠 수 있는 패턴을 발견합니다. 이는 의사결정과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됩니다.
    4. 증강 현실(AR)과 가상 현실(VR): AR과 VR 기술은 정보를 더욱 직관적이고 몰입도 높게 제시합니다. 이는 정보의 이해와 기억을 돕습니다.

    그러나 AI가 발전하더라도 인간 고유의 창의성, 감정적 이해, 윤리적 판단 등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따라서 미래의 정보 처리는 AI와 인간의 능력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

    정보 처리 이론은 우리가 일상에서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고, 저장하는지를 설명하는 유용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이 이론을 이해하고 적용함으로써 우리는 더 효율적으로 정보를 처리하고, 학습하며, 의사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우리는 인간의 인지 과정이 단순한 정보 처리 이상의 복잡성과 독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해야 합니다. 감정, 직관, 창의성 등 컴퓨터로 완전히 모방하기 어려운 인간의 특성들은 우리가 정보를 해석하고 활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래에는 AI와 같은 기술이 우리의 정보 처리 능력을 더욱 확장시킬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고 어떤 가치를 추구할 것인지는 여전히 인간의 몫일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정보 처리의 효율성을 추구하면서도, 인간 고유의 사고 능력과 가치 판단을 잃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


    인용:
    [1] Information Theory: Basics & Applications | StudySmarter https://www.studysmarter.co.uk/explanations/math/applied-mathematics/information-theory/
    [2] Memory Recognition and Recall in User Interfaces https://www.nngroup.com/articles/recognition-and-recall/
    [3] Information Foraging: A Theory of How People Navigate on the Web https://www.nngroup.com/articles/information-foraging/
    [4]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Models & Real-Life Examples https://cloudassess.com/blog/information-processing-theory/
    [5]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ticles & Videos https://www.nngroup.com/topic/human-computer-interaction/?page=3

  • 우리 주변의 ‘보이지 않는 영웅들’: UX 디자인의 인지적 인공물

    우리 주변의 ‘보이지 않는 영웅들’: UX 디자인의 인지적 인공물

    인지적 인공물

    인지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대상, 사물, 개념을 지칭하기 위해 소리, 몸짓, 상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소리, 몸짓, 상징 자체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그것이 사물을 대신하여 나타낸다는 데 의미가 있다. 그것들이 사물을 표상하는 것이다.

    인지의 힘은 추상화와 표상으로부터 비롯된다. 지각, 경험, 사고 등에서 불필요한 세부 사항을 추려내고 다른 수단으로 나타내는 능력이 바로 지능의 핵심이다. 왜냐하면 표상 과정이 정확하면 새로운 경험, 통찰력, 창조물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훌륭한 표상은 사건의 핵심적 요소를 잡아내고 나머지는 의도적으로 없앤다.

    1. 표상되는 세상: 즉 표상되어지는 대상
    2. 표상하는 세상: 상징의 집합으로 각각은 표상되는 세상에서 무엇인가를 나타냄

    사고나 개념의 표상을 다시 표상할 수 있는 능력이 반성적 사고와 고차원적인 사고의 본질이다. 바로 이러한 상위 표상을 통해서,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고, 실제 세상에서 알아차리기 힘든 어떤 일관성이나 패턴을 표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일단 우리가 생각을 표상으로 나타내면 물리적인 세상은 더 이상 적절하지 않다. 대신 우리는 표상에 대해 사고하고 때로는 표상의 표상까지 사고하게 된다. 물론 가장 이상적인 표상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 표상되는 세상에서, 부적절한 것은 무시하며, 중요하고 결정적인 특성을 잡아내야 하고
    • 사람들에게 적절하고, 해석의 과정을 촉진할 수 있어야 하고
    • 과제에 적절하여 구조와 규칙성을 발견하기 위한 판단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체험적 인공물은 세상을 경험하고 행동하는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며, 반성적 인공물은 표상에 대응하고 수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체험적 인공물은 마음과 세상을 매개하는 것이다. 반면 반성적 인공물은 현실 세계를 무시하고 인공적으로 ‘표상하는’ 세상에만 집중하도록 한다.

    도널드 노먼의 디자인 심리학, 도널드 노먼


    우리는 매일 수많은 인지적 인공물과 상호작용하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그것들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죠. 오늘은 UX 디자인에서 다루는 인지적 인공물의 특징과 일상 속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인지적 인공물이란?

    인지적 인공물(cognitive artifacts)은 인간의 인지 능력을 확장하고 보완하는 인위적 도구나 장치를 말합니다. 닐슨 노먼 그룹에 따르면 인지적 인공물은 “정보를 저장, 표현 또는 처리함으로써 인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성된 인공물”로 정의됩니다.

    쉽게 말해 우리의 기억력, 사고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을 도와주는 모든 도구라고 할 수 있죠. 메모장, 달력, 계산기 같은 단순한 도구부터 스마트폰 앱, AI 비서 같은 첨단 기술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UX 디자인에서 인지적 인공물의 중요성

    UX 디자이너들은 사용자의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인지적 인공물을 적극 활용합니다. 인지적 인공물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UX 디자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인지 부하 감소: 복잡한 정보나 작업을 단순화하여 사용자의 인지적 부담을 줄여줍니다.
    2. 오류 방지: 중요한 정보를 시각화하거나 단계별 가이드를 제공하여 실수를 예방합니다.
    3. 효율성 향상: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생산성을 높입니다.
    4. 학습 용이성: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피드백을 통해 새로운 시스템의 학습을 돕습니다.
    5. 사용자 만족도 증가: 사용자의 니즈에 맞는 인지적 지원으로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합니다.

    인지적 인공물의 주요 특징

    UX 디자인에서 활용되는 인지적 인공물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1. 정보의 외재화 (Externalization of Information)

    인지적 인공물은 우리 머릿속의 정보를 외부로 끄집어내어 시각화하거나 구조화합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개념을 쉽게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 마인드맵, 프로세스 다이어그램, 인포그래픽

    2. 인지 프로세스의 분산 (Distribution of Cognitive Processes)

    인지적 작업을 사용자와 인공물 사이에 분산시켜 인지 부하를 줄입니다. 사용자는 더 중요한 의사결정에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예: 내비게이션 앱 (경로 계산), 자동 완성 기능 (텍스트 입력 보조)

    3. 표상의 변환 (Transformation of Representations)

    정보를 다른 형태로 변환하여 이해와 조작을 용이하게 합니다.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화하거나 복잡한 데이터를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예: 통계 그래프, 아이콘, 메타포 사용 인터페이스

    4. 시간적/공간적 재구성 (Temporal and Spatial Restructuring)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정보를 재구성합니다. 과거의 정보를 현재로 가져오거나 멀리 있는 정보를 가까이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 캘린더 앱 (미래 일정 관리), 화상 회의 툴 (원격 커뮤니케이션)

    5. 인지적 앵커링 (Cognitive Anchoring)

    핵심 정보나 중요한 단계를 강조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집중시킵니다. 복잡한 작업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예: 체크리스트, 진행 상태 표시바, 하이라이팅

    일상생활 속 인지적 인공물 사례

    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인지적 인공물들이 있습니다. 몇 가지 대표적인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1. 스마트폰 알림 센터

    • 특징: 정보의 외재화, 시간적 재구성
    • 기능: 중요한 정보와 할 일을 한눈에 보여주며 적시에 알려줌
    • 인지적 이점: 기억력 보조, 주의 집중 유도

    2. 지도 앱 (예: 구글 맵스)

    • 특징: 인지 프로세스의 분산, 표상의 변환
    • 기능: 복잡한 지리 정보를 단순화하고 최적 경로를 계산해줌
    • 인지적 이점: 공간 인지 능력 보완, 의사결정 지원

    3. 온라인 쇼핑몰의 필터 및 정렬 기능

    • 특징: 정보의 외재화, 인지 프로세스의 분산
    • 기능: 방대한 상품 정보를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재구성
    • 인지적 이점: 정보 과부하 감소, 비교 분석 용이성 증가

    4. 음성 비서 (예: Siri, 구글 어시스턴트)

    • 특징: 인지 프로세스의 분산, 표상의 변환
    • 기능: 음성 명령을 통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
    • 인지적 이점: 멀티태스킹 지원,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정보 접근 가능

    5. 디지털 캘린더

    • 특징: 시간적 재구성, 인지적 앵커링
    • 기능: 일정을 시각화하고 리마인더를 제공
    • 인지적 이점: 시간 관리 효율화, 기억력 보조

    6. 패스워드 관리 앱

    • 특징: 정보의 외재화, 인지 프로세스의 분산
    • 기능: 복잡한 비밀번호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자동 입력
    • 인지적 이점: 기억 부담 감소, 보안성 향상

    UX 디자인에서의 인지적 인공물 활용 전략

    효과적인 인지적 인공물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합니다:

    1. 사용자 리서치: 타겟 사용자의 인지적 특성과 니즈를 깊이 이해해야 합니다.
    2. 태스크 분석: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작업을 세분화하여 인지적 병목 지점을 파악합니다.
    3. 정보 아키텍처 최적화: 정보를 논리적으로 구조화하여 탐색과 이해를 돕습니다.
    4. 시각적 계층 구조: 중요도에 따라 정보의 시각적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합니다.
    5. 피드백 메커니즘: 사용자 행동에 대한 즉각적이고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6. 일관성 유지: 인터페이스 전반에 걸쳐 일관된 디자인 패턴을 적용합니다.
    7. 사용성 테스트: 반복적인 테스트를 통해 인지적 인공물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개선합니다.

    인지적 인공물 디자인의 미래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지적 인공물의 형태와 기능도 계속 진화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주목해야 할 트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I 기반 개인화: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학습하여 더욱 맞춤화된 인지 지원 제공
    2. 증강 현실(AR) 활용: 실제 환경에 디지털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직관적인 가이드 제공
    3. 자연어 처리 고도화: 더욱 자연스러운 음성 및 텍스트 기반 상호작용 지원
    4. 웨어러블 디바이스 통합: 신체에 착용하는 기기를 통해 상시적인 인지 보조 제공
    5.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뇌파를 직접 읽어 의도를 파악하고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

    결론

    인지적 인공물은 우리의 일상을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만들어주는 ‘보이지 않는 영웅들’입니다. UX 디자이너들은 이러한 인지적 인공물을 적절히 활용하여 사용자 경험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더욱 강력하고 섬세한 인지적 인공물이 등장할 것입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중요한 것은 사용자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공감입니다. 인간 중심의 철학을 바탕으로 할 때, 비로소 진정으로 유용한 인지적 인공물을 디자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 주변의 인지적 인공물들에 대해 한 번쯤 관심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그것들이 우리의 삶을 어떻게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주고 있는지, 또 어떤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한지 생각해보면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참고자료:
    [1] https://www.nngroup.com/articles/cognitive-mapping-user-research/
    [2] https://www.vaia.com/en-us/explanations/anthropology/cognitive-anthropology/cognitive-artifacts/

  • 두 종류의 인지와 세 종류의 학습: 일상생활 속 사례와 적용

    두 종류의 인지와 세 종류의 학습: 일상생활 속 사례와 적용

    두 종류의 인지와 세 종류의 학습

    축적

    사실의 누적을 말한다. 이것은 우리가 어떤 방식으로 지식을 늘려나가고, 새로운 어휘를 학습하고, 이미 알고 있는 단어의 철자를 학습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당신이 친구나 이웃과 담소를 나누다가 시사적인 사건이나 무역에 관한 것들을 배운다고 가정해보자. 이것은 기존 지식에 새로운 사실을 덧붙이는 축적을 통한 학습이다. 만약 당신이 이미 적절한 개념 모형을 가지고 있다면, 축적은 어떤 의식적 노력이 없더라도 쉽고 효율적으로 일어난다. 그러나 충분한 개념적 배경지식이 없을 때는 축적이 느껴지고 어려워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내용을 학습하기 어려우므로 계속해서 반복하거나, 기억을 돕는 전략을 세우든지, 아니면 따로 적어두어야 한다.

    조정

    초심자의 초보적인 수행과 전문가의 숙련되고 자연스러운 수행 사이에는 수많은 연습시간 만큼의 차이가 있다. 처음으로 셈 규칙을 배운 아이들은 한 자리 수의 뺄셈이나 곱셈과 같은 쉬운 연산도 쉽사리 해내지 못한다.
    연습은 기술의 시작 단계에 필요한 의식적이고 반성적인 사고에서 잠재의식적이며 자동적인 체험적 인지 양식으로 이동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식으로 지식 구조를 다듬어 기술을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체험적 사고란 바로 조정된 사고다.
    조정은 서서히 일어난다. 5천 시간정도. 즉각적인 전문적 수행이나 체험적 기쁨과 같은 순간적 만족을 바라겠지만, 사실 그것은 상당한 양의 축적과 조정이 있은 다음에나 가능한 일이다.

    구조조정

    학습 과정에서 올바른 개념적 구조를 형성하기란 쉽지 않다. 앞서 언급한 축적과 조정이 주로 체험적 양식이라면 재구조화는 반성적 양식이다. 재구조화 과정에서 새로운 개념적 기술을 익히지만, 이는 매우 어렵다. 그래서 훈련의 비겨른 학생들이 특정 주제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도록 동기를 유발시킨 다음, 적절한 개념적 구조를 형성하고, 담색하고, 비교하고, 통합하고, 반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적절한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학습의 ‘유인 양식’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축적과 조정이라는 체험적 양식이 적합하지만, 학습을 재구조화하기 위해서는 반성적 양식이 필수적이다. 핵심은 학생들로 하여금 골치 아픈 반성적 사고를 하고 싶도록 만드는 일이다.
    학습에서는 동기가 인지적 변수보다 훨씬 더 강력한 변수로 판명됨. 엔터테인먼트 매체는 거의 전적으로 동기만을 취급한다. 매체의 목적은 사람들로 하여금 관심사와 상관없이 오락물을 시청하게 하는 것이다. 엔터테인먼트는 체험적 형태를 취한다. 정교하게 만들어진 오락물을 제대로 감상하기 위해서는 반성적 사고가 필요하지만 반성적 사고가 주목적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락물은 반성적 사고를 하게 하는 자극이나 원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단 사람들이 특정 문제에 호기심을 갖게 되면, 사람들은 기꺼이 답을 찾고자 한다. 반성적 사고가 힘들기는 하지만 노력을 할만한 이유가 있을 때에는 즐거운 일이 될 수도 있다.

    도널드 노먼의 디자인 심리학, 도널드 노먼


    UX(User Experience) 디자인에서 사용자의 인지 과정과 학습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 그리고 세 가지 학습 방식(축적, 조정, 구조조정)은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개념들의 특징을 살펴보고,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사례와 함께 UX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두 종류의 인지: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

    체험적 인지

    체험적 인지는 빠르고 자동적인 사고 과정으로, 과거의 경험에 기반하여 주변의 사건들에 자동적으로 반응하는 인지 작용입니다. 이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체험적 인지의 주요 특징:

    1. 신속성: 별다른 노력 없이 빠르게 의사결정이 이루어집니다.
    2. 자동성: 깊은 생각 없이 자동적으로 반응합니다.
    3. 경험 의존성: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판단합니다.
    4. 효율성: 동일한 업무를 처리할 때 시간과 자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 속 체험적 인지의 사례:

    1. 스마트폰 사용: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깊이 생각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조작합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앱을 열고 메시지를 보내는 과정은 대부분 체험적 인지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2. 운전: 숙련된 운전자는 운전 중 많은 행동을 자동적으로 수행합니다. 기어 변속, 방향 지시등 조작, 브레이크 밟기 등은 대부분 체험적 인지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3. 요리: 자주 만드는 요리의 경우, 레시피를 보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재료를 준비하고 조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반성적 인지

    반성적 인지는 깊이 있는 사고와 분석을 필요로 하는 인지 과정입니다. 이는 복잡한 문제 해결과 창의적인 사고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성적 인지의 주요 특징:

    1. 깊이 있는 사고: 복잡한 문제 해결과 의사결정에 사용됩니다.
    2. 시간 소요: 체험적 인지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3. 외부 도구 활용: 메모나 다이어그램 등 외부 도구를 활용하여 사고를 보조합니다.
    4. 비교와 대조: 여러 사물과 사건들을 비교하고 대조하여 판단합니다.

    일상생활 속 반성적 인지의 사례:

    1. 중요한 구매 결정: 자동차나 집을 구매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러 옵션을 비교하고 장단점을 분석하는 반성적 인지 과정을 거칩니다.
    2. 진로 선택: 대학 전공이나 직업을 선택할 때, 자신의 적성, 흥미, 미래 전망 등을 깊이 있게 고려하는 것은 반성적 인지의 예입니다.
    3. 복잡한 문제 해결: 직장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기획하거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때, 여러 요소를 고려하고 분석하는 과정은 반성적 인지를 필요로 합니다.

    세 종류의 학습: 축적, 조정, 구조조정

    1. 축적

    축적은 사실의 누적을 말합니다. 이는 우리가 지식을 늘려나가고, 새로운 어휘를 학습하는 방식입니다.

    일상생활 속 축적의 사례:

    • 뉴스 시청: 매일 뉴스를 시청하면서 새로운 시사 정보를 습득하는 것은 축적의 예입니다.
    • 언어 학습: 새로운 언어를 배울 때 단어를 암기하는 과정은 축적에 해당합니다.

    2. 조정

    조정은 초보자의 수행에서 전문가의 숙련된 수행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연습을 통해 의식적인 사고에서 자동적인 체험적 인지로 이동하는 과정입니다.

    일상생활 속 조정의 사례:

    • 악기 연주: 처음 악기를 배울 때는 각 동작을 의식적으로 수행하지만, 연습을 통해 점차 자연스럽게 연주할 수 있게 됩니다.
    • 타이핑: 키보드 배열을 처음 익힐 때는 각 키의 위치를 의식적으로 찾아야 하지만, 연습을 통해 자동적으로 타이핑할 수 있게 됩니다.

    3. 구조조정

    구조조정은 새로운 개념적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주로 반성적 인지를 통해 이루어지며, 기존의 지식 구조를 재구성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일상생활 속 구조조정의 사례:

    • 과학적 발견: 새로운 과학 이론을 학습할 때, 기존의 지식 체계를 재구성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동설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천동설에 기반한 기존의 우주관을 완전히 재구성해야 했습니다.
    • 패러다임 전환: 새로운 기술이나 사회 변화로 인해 기존의 사고방식을 완전히 바꿔야 하는 경우, 이는 구조조정의 예입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비즈니스 모델을 재구성해야 했습니다.

    UX 디자인에의 적용

    UX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인지 과정과 학습 방식을 고려하여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체험적 인지를 고려한 디자인

    1.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설계: 사용자가 깊이 생각하지 않고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만듭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스와이프 제스처는 체험적 인지를 활용한 좋은 예입니다[1].
    2. 일관성 있는 디자인: 사용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기대를 충족시키는 일관된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웹사이트에서 로고를 클릭하면 홈페이지로 이동하는 것은 사용자의 체험적 인지를 활용한 것입니다[1].
    3. 적절한 피드백: 사용자의 행동에 대해 즉각적이고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버튼을 클릭했을 때 색상이 변하거나 소리가 나는 것은 체험적 인지를 활용한 피드백입니다[1].

    반성적 인지를 지원하는 디자인

    1. 복잡한 작업 지원: 단계별 가이드나 튜토리얼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반성적 인지를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세금 신고 소프트웨어에서 단계별 안내를 제공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2].
    2. 정보 구조화: 복잡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돕습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품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것은 반성적 인지를 돕는 방법입니다.
    3. 사용자 컨트롤 제공: 사용자가 자신의 페이스로 정보를 탐색하고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강의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강의를 일시정지하고 되돌려볼 수 있게 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학습 방식을 고려한 디자인

    1. 축적을 위한 디자인: 사용자가 새로운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정보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뉴스 앱에서 주요 뉴스를 요약하여 제공하는 것은 축적을 돕는 방법입니다.
    2. 조정을 위한 디자인: 사용자가 반복적인 작업을 통해 숙련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포토샵과 같은 그래픽 소프트웨어에서 단축키를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의 조정을 돕는 방법입니다.
    3. 구조조정을 위한 디자인: 사용자가 새로운 개념을 이해하고 기존 지식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기술을 소개하는 웹사이트에서 기존 기술과의 차이점을 명확히 설명하고 시각화하는 것은 구조조정을 돕는 방법입니다.

    인지 부하 관리

    UX 디자인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인지 부하(cognitive load)입니다. 인지 부하는 사용자가 정보를 처리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신적 노력을 말합니다[5].

    인지 부하의 유형

    1. 내재적 인지 부하: 작업 자체의 복잡성으로 인한 부하입니다.
    2. 외재적 인지 부하: 정보 제시 방식으로 인한 부하입니다.
    3. 본질적 인지 부하: 새로운 정보를 장기 기억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하입니다.

    인지 부하 감소를 위한 UX 디자인 전략

    1. 정보 분할: 복잡한 정보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제시합니다.
    2. 시각화: 텍스트 대신 이미지나 아이콘을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합니다.
    3. 점진적 공개: 필요한 정보만 단계적으로 제공합니다.
    4. 일관성 유지: 디자인 요소의 일관성을 통해 사용자의 학습 부담을 줄입니다.

    결론

    UX 디자인에서 사용자의 인지 과정과 학습 방식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체험적 인지는 빠르고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며, 반성적 인지는 복잡한 작업과 깊이 있는 이해를 지원합니다. 또한, 축적, 조정, 구조조정이라는 세 가지 학습 방식을 고려하여 디자인함으로써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학습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UX 디자인은 이러한 인지 과정과 학습 방식을 적절히 균형 있게 활용하여, 사용자가 효율적이고 만족스러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인지 과정과 학습 방식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이해함으로써,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창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사례들을 통해 우리는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 그리고 세 가지 학습 방식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UX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인지 과정과 학습 방식에 맞는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상적인 작업에는 체험적 인지를 활용한 직관적인 디자인을, 복잡한 의사결정이 필요한 상황에는 반성적 인지를 지원하는 도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정보를 쉽게 축적할 수 있는 방식으로 콘텐츠를 구성하고, 사용자가 점진적으로 기술을 조정할 수 있도록 연습 기회를 제공하며,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기존 지식 구조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돕는 설명과 시각화 도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UX 디자인 분야에서는 인공지능과 같은 새로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의 인지 과정과 학습 방식을 더욱 정교하게 이해하고 지원하는 방법이 연구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세 가지 학습 방식을 최적화하는 혁신적인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 방식이 개발될 수 있을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UX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인지 과정과 학습 방식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이해함으로써,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의 균형, 그리고 축적, 조정, 구조조정의 학습 방식을 고려한 디자인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할 때 깊이 있는 사고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 효율적이고 만족스러운 경험을 얻을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자료:
    [1] https://www.uxpin.com/studio/blog/cognitive-psychology-for-ux-design/
    [2] https://www.dotsod.in/the-power-of-cognitive-psychology-in-user-experience-design/
    [3] https://www.cognizant.com/nl/en/insights/blog/articles/cognitive-psychology-in-ux-design
    [4] https://www.valamis.com/hub/cognitive-learning
    [5] https://www.andacademy.com/resources/blog/ui-ux-design/cognitive-load/
    [6] https://makeiterate.com/10-cognitive-biases-every-ux-designer-should-know/
    [7] https://www.nngroup.com/articles/mental-models/

  • 인지의 특징

    인지의 특징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

    체험적 인지

    전문성의 핵심은 효율적이면서도 빠른 의사 판단이다. 계속적으로 통합하는 숙련된 기술에 의해 쉽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당한 통찰과 정보를 요구하는 의사 결정도 별다른 노력 없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체험적 사고는 우리의 감각기관에 도달하는 정보의 형태에 의해 좌우되면서, 경험이라는 커다란 저장소에 의존하는 반응적이면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사고이다.
    숙고할 필요 없이 자동적으로 계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필요한 정보가 이미 획득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대개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들기 마련이다.

    두 가지 형태의 인지 간의 차이는 대뇌의 정보처리적 특성에 기인한다. 체험적 인지는 자료 주도적 처리를 한다. 즉, 어떤 일이 발생하면, 그 장면이 우리 감각기관을 통해 정신적 처리에 적절한 뇌의 부분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체험적 방식에서는 이 과정이 마치 무릎반사처럼 반사적이어야 한다. 잘 알고 있겠지만, 망치로 무릎 인대의 특정 부위를 두드리면 다리가 앞으로 움직인다. 체험적 처리는 일부 사고 과정이 있을 수는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반사와 유사한 과정이다. 체험적 처리에서는 적절한 정보가 이미 기억 속에 존재하여야 하고, 경험은 단순히 그 정보를 재활성화 시킬 뿐이다.

    물론 체험적 처리에서도 간단한 연역 추론은 가능하다.

    반성적 추리

    반성적 추리는 체험적 인지에서 볼 수 있는 추리의 깊이에 관한 제한이 없다. 그 대신 처리과정이 매우 느리고 수고스럽다. 반성적 사고는 잠정적 결과를 저장하고, 저장된 지식으로부터 추론한다. 또한 추리의 연결 고리를 앞뒤로 따라가며, 추론이 그럴듯하지 않다고 판명되면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사고하는 능력 등을 필요로 한다. 물론 이러한 과정은 시간이 걸린다. 지속적이고 깊은 반성을 위해서는 주의가 분산되지 않도록 조용한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메모와 같은 보조물을 외부 기억 저장소로 활용함으로써,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더 긴 기간에 걸쳐 깊고 연속적인 추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반성적 과정을 촉진시킨다.

    반성적 형태는 계획과 재검토의 개념이다. 이것은 느리고 수고스러운 과정이다. 반성적 인지는 외부 보조물과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다. 외적 표상이 인지를 최대한 보조하려면 현재 과정에 맞도록 잘 조정되어야 한다. 반성은 과제와 관련 없는 것들이 제거된 조용한 환경에서 가장 활성화 된다. 다채롭고, 역동적이며, 계속 잡념이 떠오르는 환경은 반성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들은 체험적 형태의 인지를 유발시키며, 사건 주도적 처리의 지각을 하게 하여, 그 결과 반성에 필요한 주의 집중을 위한 충분한 정신적 자원을 소진시킨다.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보면, 반성적 인지는 개념 주도적인 하향적 처리다.

    도널드 노먼의 디자인 심리학, 도널드 노먼


    UX 디자인은 사용자의 인지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인간의 인지 과정은 크게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 두 가지 인지 방식은 UX 디자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UX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체험적 인지의 특징과 UX 디자인 적용

    체험적 인지는 빠르고 자동적인 사고 과정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체험적 인지의 주요 특징:

    1. 신속성: 별다른 노력 없이 빠르게 의사결정이 이루어집니다.
    2. 자동성: 숙고 없이 자동적으로 반응합니다.
    3. 경험 의존성: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판단합니다.
    4. 감각 정보 중심: 우리의 감각기관에 도달하는 정보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UX 디자인에서의 적용:

    1.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설계: 사용자가 깊이 생각하지 않고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만듭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스와이프 제스처는 체험적 인지를 활용한 좋은 예입니다[2].
    2. 시각적 계층 구조: 중요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강조하여 사용자가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의 주요 버튼을 눈에 띄는 색상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3].
    3. 일관성 있는 디자인: 사용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기대를 충족시키는 일관된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웹사이트에서 로고를 클릭하면 홈페이지로 이동하는 것은 사용자의 체험적 인지를 활용한 것입니다[4].
    4. 적절한 피드백: 사용자의 행동에 대해 즉각적이고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버튼을 클릭했을 때 색상이 변하거나 소리가 나는 것은 체험적 인지를 활용한 피드백입니다[5].

    반성적 인지의 특징과 UX 디자인 적용

    반성적 인지는 깊이 있는 사고와 분석을 필요로 하는 인지 과정입니다[1].

    반성적 인지의 주요 특징:

    1. 깊이 있는 사고: 복잡한 문제 해결과 의사결정에 사용됩니다.
    2. 시간 소요: 체험적 인지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3. 외부 도구 활용: 메모나 다이어그램 등 외부 도구를 활용하여 사고를 보조합니다.
    4. 환경 민감성: 조용하고 집중할 수 있는 환경에서 더 잘 작동합니다.

    UX 디자인에서의 적용:

    1. 복잡한 작업 지원: 단계별 가이드나 튜토리얼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반성적 인지를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세금 신고 소프트웨어에서 단계별 안내를 제공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6].
    2. 정보 구조화: 복잡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돕습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품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것은 반성적 인지를 돕는 방법입니다.
    3. 사용자 컨트롤 제공: 사용자가 자신의 페이스로 정보를 탐색하고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강의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강의를 일시정지하고 되돌려볼 수 있게 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4. 오류 복구 지원: 사용자가 실수를 했을 때 쉽게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문서 편집 프로그램의 ‘실행 취소’ 기능은 반성적 인지를 지원하는 좋은 예입니다.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의 균형

    UX 디자인에서는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를 적절히 균형 있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사용 맥락 고려: 빠른 결정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체험적 인지를, 신중한 판단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반성적 인지를 지원하는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2. 사용자 숙련도 고려: 초보자에게는 더 많은 가이드와 설명을 제공하고, 숙련된 사용자에게는 빠른 작업을 지원하는 단축키나 고급 기능을 제공합니다.
    3. 점진적 공개: 복잡한 기능을 한 번에 모두 보여주지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점진적으로 공개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를 모두 고려한 접근법입니다.
    4. 피드백 루프 설계: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체험적 인지)과 더불어, 장기적인 사용 패턴이나 성과에 대한 분석(반성적 인지)을 제공합니다.

    결론

    UX 디자인에서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체험적 인지는 빠르고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며, 반성적 인지는 복잡한 작업과 깊이 있는 이해를 지원합니다. 성공적인 UX 디자인은 이 두 가지 인지 방식을 적절히 균형 있게 활용하여, 사용자가 효율적이고 만족스러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인지 과정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이해함으로써,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창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자료:
    [1] https://www.nngroup.com/articles/between-within-subjects/
    [2] https://www.nngroup.com/articles/context-methods-study-guide/
    [3] https://www.nngroup.com/articles/discovery-phase/
    [4] https://www.nngroup.com/articles/research-methods-glossary/
    [5] https://www.nngroup.com/articles/usability-testing-101/
    [6] https://www.nngroup.com/articles/ux-research-cheat-sheet/

  • 인지의 두 가지 종류: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

    인지의 두 가지 종류: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

    인지의 두 가지 종류;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


    체험적 양식은 주변의 사건들을 효율적, 자동적으로 지각하고 반응하도록 한다. 이는 전문가의 행동 양식이고,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핵심적 요소이다. 반성적 양식은 사물들을 서로 비교하거나 대조할 때, 그리고 깊이 생각하거나 의사 결정할 때 주로 활용된다. 이로 인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낼 수도 있고 새로운 반응을 할 수도 있다. 두 가지 양식 모두 인간의 수행에는 필수적이지만, 각기 다른 방식의 기술적 지원이 필요하다. 인간의 인지와 지각을 이해하는 데 밀접한 이 양식들 간의 차이를 이해하면 기술이 제멋대로 되지 않도록 통제하고 인간에게 적합한 산물을 만들 수 있다.


    두 양식은 서로 섞일 수 있으며 체험적 양식으로 인지하면서 동시에 반성적 양식으로 인지할 수도 있다. 전문가는 주로 체험적 인지를 이용한다. 능숙한 운동선수도 마찬가지로 경기 도중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일에 대처하기 위해서 체험적 양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체험적 양식을 즐겨 사용하는 것 또한 위험하다. 왜냐하면, 사고와 행위를 혼돈할 수 있기 때문이다.물론 체험적 양식은 새로운 경험을 할 수는 있지만,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개념을 만들거나 인간 이해의 진보를 가져올 수는 없다. 이를 위해서는 반성적 사고가 필요하다. 그리고 오늘날 더 심각한 문제는 영화나 비디오 또는 인쇄물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체험적 양식으로 관찰할 때 나타나는 대리적 체험의 문제다. 대리적 체험은 오락적일 수 있으나 그렇다고 능동적 참여를 대신할 수는 없다.

    도널드 노먼의 디자인 심리학, 도널드 노먼


    UX(User Experience) 디자인에서 사용자의 인지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도널드 노먼(Donald Norman)이 제시한 인지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인 체험적 인지(Experiential Cognition)와 반성적 인지(Reflective Cognition)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두 가지 인지 유형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더 효과적이고 만족스러운 사용자 경험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체험적 인지 (Experiential Cognition)

    체험적 인지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인지 방식입니다. 이는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주변 환경과 상황에 빠르고 자동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징:

    1. 자동적이고 즉각적인 반응
    2. 과거 경험에 기반
    3. 최소한의 의식적 노력 필요
    4. 효율적인 일상 작업 수행에 적합

    일상생활 사례:

    • 자전거 타기: 한 번 배우면 의식적으로 생각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탈 수 있습니다.
    • 스마트폰 사용: 자주 사용하는 앱의 위치를 기억하고 거의 무의식적으로 찾아 실행합니다.
    • 운전: 숙련된 운전자는 차량 조작을 거의 자동적으로 수행합니다.

    UX 디자인에서의 적용:

    1.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설계: 사용자가 깊이 생각하지 않고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만듭니다.
    2. 일관성 있는 디자인 패턴 사용: 사용자가 이전 경험을 바탕으로 쉽게 새로운 기능을 익힐 수 있도록 합니다.
    3. 시각적 단서 제공: 아이콘, 색상 등을 통해 기능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합니다.

    반성적 인지 (Reflective Cognition)

    반성적 인지는 더 깊은 사고와 분석을 요구하는 인지 과정입니다. 이는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문제를 해결하거나 의사결정을 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특징:

    1. 의식적이고 심층적인 사고 과정
    2. 비교, 분석, 평가 포함
    3. 시간과 노력이 더 많이 필요
    4. 창의적 문제 해결과 학습에 중요

    일상생활 사례:

    • 새로운 가전제품 설정: 처음 사용하는 기기의 매뉴얼을 읽고 설정하는 과정
    • 여행 계획 세우기: 목적지, 일정, 예산 등을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
    • 복잡한 퍼즐 풀기: 논리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요구하는 활동

    UX 디자인에서의 적용:

    1. 단계별 안내 제공: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자를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2. 피드백 메커니즘: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을 돕습니다.
    3. 사용자 교육 자료: 새로운 기능이나 복잡한 시스템에 대한 튜토리얼이나 도움말을 제공합니다.

    UX 디자인에서 두 인지 유형의 균형

    성공적인 UX 디자인은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를 적절히 조화시키는 것에 있습니다. 사용자가 일상적인 작업을 쉽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필요할 때 더 깊은 사고와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균형 잡힌 디자인의 예:

    1. 스마트홈 앱
      • 체험적 인지: 자주 사용하는 기능(조명 켜기/끄기, 온도 조절 등)을 홈 화면에 배치하여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 반성적 인지: 에너지 사용 분석이나 자동화 규칙 설정과 같은 복잡한 기능은 별도의 메뉴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 깊이 있게 탐색할 수 있게 합니다.
    2. 온라인 쇼핑몰
      • 체험적 인지: 직관적인 카테고리 구조와 검색 기능으로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제품을 찾을 수 있게 합니다.
      • 반성적 인지: 상세한 제품 비교 기능이나 리뷰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신중한 구매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3. 생산성 앱(예: 노트 앱)
      • 체험적 인지: 간단한 메모 작성이나 체크리스트 만들기 등 기본적인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 반성적 인지: 태그 시스템, 고급 검색 기능, 다른 앱과의 연동 등 복잡한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더 체계적으로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결론

    UX 디자인에서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를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체험적 인지를 고려한 디자인은 사용자가 일상적인 작업을 쉽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주며, 반성적 인지를 고려한 디자인은 사용자가 더 깊이 있는 학습과 문제 해결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성공적인 UX 디자인은 이 두 가지 인지 유형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에 있습니다.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설계해야 합니다. 또한, 사용자의 경험 수준, 사용 맥락, 그리고 수행해야 할 작업의 복잡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인지 모드를 지원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UX 디자이너는 지속적인 사용자 연구와 테스트를 통해 디자인이 실제로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사용자의 행동과 피드백을 관찰함으로써, 체험적 인지와 반성적 인지 사이의 적절한 균형점을 찾고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우리는 사용자가 쉽게 배우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할 때 깊이 있는 탐색과 학습이 가능한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더 만족스럽고 의미 있는 사용자 경험을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참고자료
    [1] https://famelee.oopy.io/1f1da02a-366f-45df-948c-57720aed3a92
    [2] https://www.ques10.com/p/66275/what-are-cognitive-aspects-explain-in-detail/